밝은 창

정정보도 등은 해당 보도의 크기와 같게 하도록 하여, 언론의 책임의식 확립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본문

단상 ; 언론에 관하여

정정보도 등은 해당 보도의 크기와 같게 하도록 하여, 언론의 책임의식 확립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밝은 창 2013. 9. 25. 10:30

 


 

 

채동욱 검찰총장이 법원에 조선일보를 상대로 정정보도 청구하는 소장을 제출했다고 한다.

이로서 조선일보의 검찰총장 혼외자 보도에 대한 진위 여부는 법원의 판단으로 넘어간 거 같다.


내가 볼 때, 이번 소장의 내용에서 주목할 부분은, 정정보도를 해당 기사와 똑 같은 면에 같은 크기로 해달라는 내용이다.

1면 머리기사로 했으니 정정된 내용도 그렇게 해야 한다는 거다.


맞다.

그래야 한다.

특히 개인의 인권과 관련된 문제는 더욱 더 그래야 한다.


언론에서 자기들 입맛대로 보도를 하고나서 나중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거나, 일부 사실관계가 잘못되었다는 것이 입증되면 한쪽 구석에 조그맣게 정정 내용을 내보내거나, 어물쩍 대충 넘어가는 행태를 그동안 보여 왔는데,

그런 걸 볼 때마다 '저건 아닌데...' 라는 생각을 해왔다.


아무 잘못 없는 사람을 실컷 때려서 병신이 될 정도로 만들어놓고 나중에 그 사람이 아니라는 게 밝혀지면 "아이쿠 내가 실수로 잘못 본 거 같습니다. 미안합니다." 이렇게 한마디 툭 던지곤 휑하니 가버리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이번 소송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만약 허위보도라는 법원의 판단이 서면, 꼭 청구자가 원하는 대로 정정보도 하라는 판결문이 나왔으면 좋겠다.

그래서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언론은 지금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권이나 재계 어느 쪽이든 언론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힘이 막강하다.

심지어 국가 최고 권력기관 중의 하나라는 검찰의 수장에게도 칼을 겨누지 않는가.


따라서 그만큼 책임도 있어야 한다.

함부로 그 힘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힘을 잘못 사용한 것이 밝혀지면 반드시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책임의식이 확립된다.


책임의식 없는 힘은 아주 위험한 법.

그것은 마치 제정신 아닌 망나니가 큰 칼을 들고 사람들 많은 곳을 휘젓고 다니는 것과 같다.